C7과 같이 옆에 숫자 7이 붙어있는 코드는 'C 세븐' 코드라고 읽으며, Cm7은 'C 마이너 세븐' 코드라고 읽는다.
7th 코드는 기본 세 음(I, III, V)에 7도음을 덧붙이는 것인데, 여기서 7도음은 5도음을 기준으로 해서 단3도(반음 세 개 )에 해당하는 음이다. 따라서 C7의 7도음이나 Cm7의 7도음은 동일한 음이다.
C7의 경우 C 코드의 세 구성음인 C, E, G에다가 A#(=Bb)을 덧붙인 것이다.
C key에서라면 (도, 미, 솔 + 라#(시b))가 된다. G에서 한 음 올라가면 A가 되며 여기서 반음 더 올라간 것이 A# 혹은 Bb가 된다. (A에서 반음 올라간 것이나 B에서 반음 내려간 것은 결국 같은 음이므로 A# = Bb 이다.)
그런데 이 A#(Bb)은 근음인 C보다 한음 낮은 음이기도 하다. 따라서 7th 코드를 쉽게 생각하는 방법은 세 개의 기본 구성음 다음에 근음(한 옥타브 위)에서 한음 낮은 음을 추가하는 것이다.
이런 방식으로 계산하면 F7 코드는 F, A, C에다가 F(근음)보다 한음 낮은 음인 Eb(=D#)을 덧붙이면 된다. (F와 E는 반음 차이이므로 한음 아래의 음은 Eb가 된다.) 마찬가지로 G7 코드는 G, B, D에다가 G(근음)보다 한음 낮은 F를 덧붙이면 되는 것이다. C key에서 F7은 (파, 라, 도 + 미b(레#))이며, G7은 (솔, 시, 레 + 파)가 된다.
이런 원리는 마이너 코드에도 그대로 적용된다. Am7을 만들어보자. Am는 A, C, E로 구성된다. E에서 한음 낮은 음은 D가 된다. 따라서 Am7은 A, C, E에다가 D를 추가하면 되는 것이다. C key라면 (라, 도, 미 + 레)가 된다. Dm 코드는 D, F, A로 구성되므로 Dm7은 D, F, A에다가 D보다 한음 아래인 C를 더하면 된다. C key에서는 (레, 파, 라 + 도)가 되는 것이다.
이 7th 코드는 7도음의 추가로 인하여 매우 불안정한 느낌을 준다.
7th 코드는 기본 세 음(I, III, V)에 7도음을 덧붙이는 것인데, 여기서 7도음은 5도음을 기준으로 해서 단3도(반음 세 개 )에 해당하는 음이다. 따라서 C7의 7도음이나 Cm7의 7도음은 동일한 음이다.
C7의 경우 C 코드의 세 구성음인 C, E, G에다가 A#(=Bb)을 덧붙인 것이다.
C key에서라면 (도, 미, 솔 + 라#(시b))가 된다. G에서 한 음 올라가면 A가 되며 여기서 반음 더 올라간 것이 A# 혹은 Bb가 된다. (A에서 반음 올라간 것이나 B에서 반음 내려간 것은 결국 같은 음이므로 A# = Bb 이다.)
그런데 이 A#(Bb)은 근음인 C보다 한음 낮은 음이기도 하다. 따라서 7th 코드를 쉽게 생각하는 방법은 세 개의 기본 구성음 다음에 근음(한 옥타브 위)에서 한음 낮은 음을 추가하는 것이다.
이런 방식으로 계산하면 F7 코드는 F, A, C에다가 F(근음)보다 한음 낮은 음인 Eb(=D#)을 덧붙이면 된다. (F와 E는 반음 차이이므로 한음 아래의 음은 Eb가 된다.) 마찬가지로 G7 코드는 G, B, D에다가 G(근음)보다 한음 낮은 F를 덧붙이면 되는 것이다. C key에서 F7은 (파, 라, 도 + 미b(레#))이며, G7은 (솔, 시, 레 + 파)가 된다.
이런 원리는 마이너 코드에도 그대로 적용된다. Am7을 만들어보자. Am는 A, C, E로 구성된다. E에서 한음 낮은 음은 D가 된다. 따라서 Am7은 A, C, E에다가 D를 추가하면 되는 것이다. C key라면 (라, 도, 미 + 레)가 된다. Dm 코드는 D, F, A로 구성되므로 Dm7은 D, F, A에다가 D보다 한음 아래인 C를 더하면 된다. C key에서는 (레, 파, 라 + 도)가 되는 것이다.
이 7th 코드는 7도음의 추가로 인하여 매우 불안정한 느낌을 준다.
그래서 블루지한 느낌을 강조하는 블루스 음악에서 흔히 쓰인다. 일반적으로는 주로 다음 코드로 넘어갈 때 거쳐가는 경과코드로 많이 쓰인다.
C --> C7 --> F 코드를 한 마디씩 차례로 연주해보면 그 느낌이 어떠한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.
이 코드 진행을 분석해보면 C 다음에 C7 코드에서 근음인 C보다 한음 낮은 Bb 소리가 나면서 불안정해지다가 A를 포함한 F 코드로 넘어가면서 다시 안정됨을 느낄 수 있다.
따라서 C 코드 다음에 F 코드로 이어지는 경우 C에서 바로 F를 짚기보다 중간에 C7을 거치는 편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느낌을 준다.
따라서 C 코드 다음에 F 코드로 이어지는 경우 C에서 바로 F를 짚기보다 중간에 C7을 거치는 편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느낌을 준다.
'드럼과 색소폰 > 키보드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드진행에 대해서 (0) | 2010.04.04 |
---|---|
[코드] sus4, dim, aug 코드 (0) | 2010.04.04 |
왼손코드 쉽게 잡는 방법 (0) | 2010.04.04 |
코드 주법 준비 단계 (0) | 2010.04.04 |
[스크랩] *각조별 주로 많이쓰이는 음계와 주요3화음* (0) | 2010.04.04 |